라벨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인 게시물 표시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0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0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20강 대한민국 임시정부 3 1. 충칭시기 - 마침내 조국의 독립을 쟁취하다.  - 충칭 정착과 체제 정비   → 충칭 정착 이유: 일제의 공습, 교통 문제 등   → 임시정부의 충칭 정착 어려움 : 중국 정부의 혼란, 급격한 도시 팽창, 청사 건물의 구입 곤란 등  - 임시정부의 정비   → 조직 재정비, 대일항전태세 정비   → 충칭 한국독립당 결성 : 임시정부의 기반 강화   → 제4차 헌법 개정(1940. 10.) : 국무위원제 → 주석제(김구)   → 한국광복군 창설(1940. 9.), 대일선전포고(1941. 12.)  - 임시정부의 활동   →  다양한 선전, 외교활동 : 카이로선언(1943. 11.)   → 전후 한국의 독립 보장 제5차 개헌(대한민국임시헌장)   → 주석제 → 주석 부주석제(1944. 4.)   → 좌익진영의 참여 유도, 부주석제 신설, 국무위원 ·임시의정원 의원 증원  - 좌우연합의 통일의회 결성 ; 제34차 의회(1942. 10.)   → 민족혁명당, 조선혁명자연맹 등 좌익진영 참여  - 통일정부 실현 : 1944. 4.   → 민족혁명당 : 장건상, 김원봉, 성주식, 김붕준   → 조선혁명자연맹 : 유림   → 조선민족해방동맹 : 김성숙   → 민족혁명당의 김규식, 장건상은 제34차 임시의정원 의회 결의에 따라 ...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9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8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19강 대한민국 임시정부 2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929년 세계 경제대공황   → 물가의 급등, 주가 폭락, 무역 수지 악화 등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안 가중   → 일제의 만주·상하이 침략  - 독립운동의 근거지 상실로 위기 직면  - 난관 극복을 위한 비밀 특무조직 결성 : 한인애국단(책임자: 김구)   → 이봉창 의사 도쿄의거(1932. 1. 8.)   →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훙커우공원 의거(1932. 4. 29.)   → 이덕주, 유진식 의사의 조선총독 처단 의거   → 유상근, 최흥식 의사의 대련의거 2.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한인애국단의 의거로 독립운동의 새로운 활로 개척   → 미주 등지에서 국외 독립운동 자금 지원, 국민정부의 지원 등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8년의 이동(1940년 9월 충칭 정착까지) ...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8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8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18강 대한민국 임시정부 1 1.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3·1운동의 결과물   → '조선의 독립국’, ‘조선인의 자주민’ 선포(독립선언서)   → 민족의 독립 열망과 의지 → 결집 필요성, 체계적 조직적인 독립운동으로 발전  - 3~4월에 국내외에 7개의 임시정부 수립  - 상하이 2 블라디보스톡·국내 : 실제적인 조직과 인적 기반  - 수립 직후부터 통합을 추진(원세훈, 안창호)   → 지역적인 기반, 이념의 차이 등으로 많은 어려움  - 통합 달성(1919. 9)   → 한성정부의 법통 계승   → 위치는 상하이   → 명칭 : 대한민국임시정부   → 대통령 : 이승만 국무총리 : 이동휘  -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 독립운동 최고의 기구로서 다양한 활동 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 상하이 시기  - 국내와의 연계 활동   → 교통국과 연통제 설치, 운영 · 교통국     : 교통부 산하조직, 만주와 국내의 연락조직망, 통신과 정보 수집, 각종 문서 전달   → 연통부     : 내무부 산하조직, 국내기반 확보 산하행정기관의 통신과 행정확보, 독립운동자금 모집  - 외교활동   → 파리강화회의 : 김규식 전권대사로 임명   → 중국 : 중국의...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6, 17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6, 17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16강 국외의 독립운동 일본 1 1. 1910년대 일본에서의 독립운동. ▶ 재일단체 결성과 민족운동  - 도쿄의 한인단체   → 동경의 대표적인 단체는 재일본동경조선기독교청년회 (이하 기독청년회)   → 1903년 창립된 황성기독교청년회 한인의 일본조직.   → 기독청년회는 중국학생 YMCA의 결성을 배경으로 탄생.   → 1907년 8월 건물을 세 내에 회관을 마련.   → 이후 동경 한국인 유학생단체들의 집회장소로 역할.  - 오사카의 한인단체   → 노동자 구호를 목적으로 하는 재대판조선인친목회 (이하 친목회)   → 1914년 관서대학에 다니던 강만형이 발기 하여 최초 결성.   → 1916년 5월 1일 노동자 구호단체인 동맹합자회 창립.   → 1918년 8월 8일 조선인저금회 결성. ▶ 재일 유학생의 민족운동  - 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   → 1909년 1월 결성된 대한흥학회를 모태로 함.   → 1912년 10월 27일 친목회를 총합하여 학우회를 창립.   → 1925년 동경 유학생의 다수를 망라한 학우회의 성립.   → 유학생은 학우회를 가입할 의무가 있었고, 불참시 일본의 개로 취급.   → 민족의식과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1년에 2회씩 잡지를...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5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5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15강 국외의 독립운동2 - 미국 지역의 독립운동 1. 미주단체의 통합과 국민회 창립  - 국민회 창립   → 미주한인단체의 통합의 결정적 계기 : 스티븐스 처단사건(전명운·장인환 의사의 재판 후원)   → 공립협회 + 하와이 합성협회 = 국민회(1909. 2.)  - 중앙총회 설립   → 국민회의 「국민회 장정」 발표(국권회복운동을 통한 국민국가 수립 선언)   → 국민회의 지방총회 설립(북미, 하와이, 멕시코, 국내, 만주, 러시아 등)   → 지방회를 통괄하기 위한 중앙 총회 설립(1911년 3월) 2. 미국에서의 독립운동  - ‘합방’ 반대투쟁   →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애국동맹단), 하와이 지방총회(대동공진단) 결성   → 1. 국내 비밀통신기관 설치   → 2. 외교를 포함한 군인양성운동 추진   → 3. 한국 황제에게 합방 거절을 촉구하는 전보 발송   → 4. 영문 선언서를 구미 각국에 발송하는 한편 언론을 통한 ‘합방’ 비판 선전전 개시  - 네브라스카의 한인소년병 학교   → 1909년 6월 한인소년병학교 설립   → 미주 최초 독립군 양성기관   → 박용만 주도 설립, 방학으로 이용한 하계군사학교 3년 과정으로 운영  - 하와이 지방총회의 대조선 국민군...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4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4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14강 국외의 독립운동2 - 러시아 1. 1910년대 러시아에서의 독립운동 단체의 결성과 활동  - 권업회: 1911년 12월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창립.   → 20만명에 가까운 대규모 한인사회를 바탕.   → 이종호, 김익용, 강택희, 엄인섭등에 의해 이루어짐.   → 회장에 최재형, 부회장에 홍범도 선임.   → 이후 러시아 당국의 공인을 얻어 1911년 12월 19일 공식적인 창립일로 설정함.  - 대한인국민회 시베리아지방총회   → 1909년 미주 지역의 국민회가 대동보국회를 흡수하여 동년 5월 10일 대한인민국회로 설립.   → 대한인국민회는 하와이, 미주 본토, 멕시코를 비롯한 해외 한인사회의 자치기관으로 발돋움.   → 해외 각 지역에 지방총회를 두고 그 관할에 지방회를 설립   → 철저히 민주주의 방식에 의거.   → 시베리아지방총회는 1911년 10월 20일 치타시쿠즈내츠느예 거리에 건립.   →  양주륜을 초대정, 홍신영을 부회장으로 선임. 2. 러시아혁명 전후의 독립운동  - 대한광복군정부: 권업회의 건립 주도.   → 일조 유사시 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건립.   → 연해주, 서북간도에 3개의 군구를 설치.   → 1914년 러시아의 전시체제 확립에 따라 연해주에서 탄압을 받음.   → 이후 북간도로 다시 옮겼으나 러시아와 일본의 연이은 탄압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