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살별인 게시물 표시

[장르소설 리뷰] 코리아 신흥 재벌 - 살별 [1.0] [포기]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코리아 신흥 재벌 - 살별 [1.0] [포기] 카카오페이지 문피아 네이버시리즈 리디북스 외국에서 돌아온 형이 죽었다. 죽은 형이 남겨준건 철을 금으로 바꿀수 있는 연금술기계. 일단 금괴를 들고 나가서 현찰로 바꾼 후 생기는 일들. 그 끝은.. #인물 굉장히 초반에 포기하게 되어서 그 끝은 알 수 없다. 엔딩만 흘끔 보니 전 세계 제 일의 갑부에  연금술 기계는 유산으로 물려주는 인플레이션의 주범. 초반부터 무성의하게 묘사하며 사건과 사건을 이어가며 캐릭터를 만드는데 이 주인공이 뭐하는 놈인지 모르겠다. 5년만에 만난 동생이 뜬금없이 여친이 되고, 돈지랄을 해가며 처갓집에 돈을 들이붓더니 부산의 남포동과 서면의 부동산을 싹 쓸이한다. ... 뭐라 인물에 대해 생각하려 해도 기도 안차서 포기한다. #특징 문피아에서 완결 선호도 순위가 꽤 높기에 짧고 굵은 소설인가 싶어서  읽기 시작했는데, 오랜만에 제대로 똥 밟았다. 목적없이 사는 주인공에게 돈이 따라붙고 생뚱맞은 여자도 생기는데 운은 더럽게 좋다. 배경이 IMF 직전부터 시작해서 금 환전, 달러 사재기로 출발한다. 아는 것처럼 실패할 수 없는 돈 벌이이다. 그리고 IMF 직후부터는 부동산 싹쓸이. 어차피 장르물 판타지 소설을 어찌 쓰는가에 대해서는 당연히 작가 마음이다. 그런데 개연성과 맥락 없는 돈놀이와 치사량의 공감 안되는 국뽕 한가득은 아무리 스트레스 해소용 이라고 해도 도가 지나친 느낌이라 거부감 든다. #정리 판타지든 무협지든 현대판타지, 짬뽕물이든 그게 뭐든지 간에 이야기는 읽는 사람에게 작가의 상상을 공감되게 만든다. 그게 인물에게 몰입되든 혹은 글의 주제이든 세계관이든 무엇이든 말이다. 초반에 포기해서 딱히 쓸 말도 없다. 그 어느것에도 포함 안되는 소설이기...

[장르소설 리뷰] 역대급 제약 재벌 - 살별 [2.0]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역대급 제약 재벌 - 살별 [2.0] 카카오페이지 문피아 네이버시리즈 리디북스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전염병을 인류는 이기지 못했고 결국 감염되어 죽었다. 눈을 떠보니 코로나19 1년전. 회귀전까지 연구했었던 연구 자료와 함께 돌아왔다. 일단 코로나19부터 잡고 시작하자. #인물 천생 연구하는 학자처럼 그려놨는데 알고 보니 경영 천재. 그런데 딱히 본인이 연구하는게 뭔지도 잘 모르겠다. 보조하는 컴퓨터에 주변에 인물들이 서포트 해주고 아이디어 퍼주고 육체와 시간을 갈아 넣었는데 이상하게 주인공만 스포트라이트가 집중 된다. 그냥 연구실에서 며칠 밤 샜다라는 표현만 반복되는데 말이다. 뭐. 주인공 버프는 그렇다 치고 조연들도 딱히 뭐 없다. 전생에 AI 공돌이는 지금도 그렇고 M&A 전문가도 그짓 그대로 하고 같이 연구했었다고 두어줄 나온 전생의 연구원들도 딱히 도드라짐 없이 주인공을 위한 거름으로 뿌려진다. #특징 그냥 코로나19 시대에 장기적으로도 충분히 걱정될만한 전염병을 소재로 잡고 국뽕 두어스푼 넣어 끓인 무슨 맛인지 알 수 없는 건강한 국수 같은 느낌이다. 딱히 전문적인 이야기라고 하기엔 깊이도 안 느껴지고,  글 자체를 잘 썼냐라고 생각해도 앞뒤만 맞을뿐 흡입력 있지도 않다. 소재가 소재다 보니 지금까지 전 세계가 보여줬던 모습들을 적당히 어루만져 소설에 우겨넣는 것 까진 좋다. 문제는 그 이상 한 발 나가는게 없다는 것이다. 이해 가지 않는 떡밥도 몇 몇 나왔는데, 잘 주워서 먹는다고 하기에도 그렇고. #정리 적어도 이 소재를 가지고  장르 소설을 쓰려면 전문적인 지식을 더 깔고 더 풍성하거나 혹은 깊이있는 이야기도 만들 수 있을 듯 한데, 여러모로 아쉽다. 결국 흔한 경영물에 돈 버는 수단이 제약회사일뿐 문어발로 확장하며 로열티로 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