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4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3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3강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1 1. 무단통치를 통한 식민지 지배정책 구축 - 무단통치: 1910~1919년까지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무단통치) → 조선 총독 : 일본 육해군 대장 중 임명 → 조선총독의 권한 : 군 통수권, 행정, 입법, 사법권 관할 → 헌병경찰제 실시 → 군사 조직(헌병) : 군사, 행정, 사법 경찰의 역할 수행 → 헌병 경찰제의 실시와 일본 육군 2개 사단, 해군 2개 분대를 주둔시키면서 한국인의 독립운동 탄압 - 식민통치체제 구축 → 식민지 수탈에 효율적인 경제체제 구축 - 한국인의 기업 설립과 경제 성장 발전을 억제 : 회사령(1910) → 개항장, 개시장, 철도, 군사기지등과 관련된 신흥 도시 육성(일본 자본의 침투 및 팽창 유도) - 국유지를 비롯한 토지의 약탈과 지세 수입 확보에 유리한 기반을 구축(토지조사 사업, 1911~18) → 토지에 대한 전통적 권리 배제 → 지주의 배타적인 소유권 확립 → 황실과 국가 소유의 국유지, 투탁지를 총독부 소유로 편입 → 중소 지주, 자작농, 자소작농 등 농촌의 중간층 몰락, 소작농 증가 - 어업 및 광업령을 통해 일본인들의 자원 독점 : 어업령(1911), 광업령(1915) - 결사, 집회, 언론 출판 등의 자유 박탈 → 언론지 페간 : 『대한매일신보』, 『황성신문』, 『대한민보』 등 → 계몽 단체 강제 해산 : 대한협회, 서북학회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