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임동원인 게시물 표시

[장르소설 리뷰] 2부 무위전쟁록 - 가우리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2부 무위전쟁록 - 가우리 [2.5] 평범하게 살고 싶었다. 그냥 옆에 와이프도 끼고, 애들 자라는거 보면서 동네 동생들하고 한량처럼 살고 싶었다. 헌데 세상이 나를 가만 두지 않는다. 뭐가 이리 거슬리는게 많은지 모르겠다. 내가 내 삶을 살기 위해 조용히 산 다는건 불가능 해졌고, 이제 내 방식대로 전쟁을 치르겠다. 네이버시리즈 리디 판무림 문피아 # 전개 및 특이점. 1부 무위투쟁록, 2부 무위전쟁록으로 나뉘어진 이야기. 1,2부로 나뉘어 졌지만 결론적으론 하나의 이야기 이며, 2부까지 가서야 겨우 매듭지어졌다고 볼 수 있다. 1부가 오호십육국 시대 난세의 전장에서 말단 병사로 굴러다녔던 주인공이 400년동안 갇혔다 세상에 나오는 이야기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마무리는 자기 가족처럼 생각했던 동네 건달들을 무림의 이해관계에 의해 살해당하고 마무리. 2부인 무위전쟁록은 그런 가족처럼 생각했던 동네건달들의 복수를 위해 정파, 마도, 사파, 흑도 그리고 황제까지 아우르려 했던 흑막을 처리하는 내용이다. 2부의 분위기 역시 1부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작품 내에서 세계관이 넓어진 부작용이 단점으로 보인다. 크게 복잡하지 않은 이야기 구조에 주인공이 날뛰면서 생기는 에피소드들이 그나마 매력인 소설이었다. 반면 2부에서는 최종 흑막이 황권이라 볼 수 있다. 거기다 이야기의 진행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정파, 마도, 사파, 흑도까지 중심 이야기에 휩쓸리게 된다. 그러다보니 주인공이 보이질 않는다. 허술한 모략을 꾸미거나 전쟁을 대비한 어설픈 준비, 세력을 설명하기 위한 장면들이 펼쳐지기 시작하면서 분량이 한없이 늘어난다. 아무리 봐도 분량을 위한 불필요한 내용들만 가득하다고 생각된다. 어쨌든 이야기가 진행된 이상 완전한 마무리를 위해 읽긴 하지만 매력적인...

[장르소설 리뷰] 1부 무위투쟁록 - 가우리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1부 무위투쟁록 - 가우리 [3.0] 전쟁의 수 많은 병졸 중 하나였을 뿐이었고, 그저 살고 싶을 뿐이었다. 전쟁이 끊이지 않던 시대에  전장에서 20년간 살아남았다. 우연히 천고의 기연을 얻게 되는 순간, 안배에 의해 발동한 진법에 갇혔다. 그리고 흐른 시간 400년. 평범하게 살고 싶은 400년 삭힌 인간의 강호 출정기. 네이버시리즈 리디 판무림   # 전개 및 특이점. 1부 무위투쟁록, 2부 무위전쟁록으로 나뉘어진 이야기. 전장에서 20년간 굴러다니며 오로지 살기위해 살아온 전장의 능구렁이가 기연을 얻고 강호로 출도한다는 소설이다. 다만 주인공의 특징은 기연을 얻는데 400년 걸린 점이고, 둘째는 기연이 기연같지 않다는 점이다. 400년이라는 시간을 홀로 진법에 의해 동굴에 갖힌 주인공이 한 일은 거듭된 망상과 망상을 하기 위한 수련이다. 알고 있는 유일한 심법인 저잣거리의 토납법을 400년 동안 수련하며 무한한 시간동안 상상을 통해 수련한 묵은지 같은 인물이 주인공이다. 동굴에서 나온 후 먼치킨이 된 인간의 무림 적응기.  그리고 외로웠던 시간만큼 내 사람을 만들고, 지키기위한 투쟁. 전체적으로 소설은 이런 내용이다. 물론 거기다 환골탈태한 400살 젊은이에 대한 오해, 배분과 관계없는 주인공의 행동, 적과 아군 경계를 뚜렷히 긋는 삶의 태도, 핵심을 명쾌하게 꿰뚫는 혜안(?). 이런 여러 포인트들이 주인공의 매력을 충분히 불러온다. 전쟁이 끝난지 수백년이 지났지만 모든 기억이 전쟁의 삶에 투영된 주인공이기에 현실 무림인의 가치관과 병졸의 주인공의 가치관은 간극이 넓다. 400년이 지난 시점에서 홀로 전쟁을 치루는 듯한 생각과 행동의 주인공의 몸부림은 그 괴리감만큼 안쓰럽다. 전쟁 낭인 혹은 3류 양아치처럼 보이는 주인공의 행동은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