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SOKIN인 게시물 표시

[장르소설 리뷰] 갓 코더 - SOKIN [2.5]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갓 코더 - SOKIN [2.5] 미친듯이 노력했지만  노력에 비례해서 성과는 얻지 못했다. 시간을 끊임 없이 투자한 직장생활의 암울함은 끝이 보이지 않는 길을 달리는 기분이었다. 첫 아이의 출산을 겨우 짬을 내서 보게 되었고, 첫 아이와 함께 모든걸 바꿀 수 있는 선물을 받게 되었다. 노력을 하면 보상받을 수 있는 삶이 이제 시작된다.   리디 네이버시리즈 문피아 카카오페이지   ▷ 전개 및 특이점. 코더. 프로그래밍을 통해 개발자의 삶을 살고 있는 주인공에게 작가의 상상력을 투영하여 노력과 비례해서 보상받는 멋진 삶을 쓴 소설. 착하고 선량한 주인공이 능력을 얻어 즐겁게 일하며 보상을 받는 수면위의 삶과 보상에 비례한 노력이라는 덫 덕분에 소설 끝날때 까지 개처럼 일하는 수면 아래의 주인공의 삶이 언밸런스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아무리 노력을 보상받는다고 치고, 천재의 몇 배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고 하더라도 소설내에서 흐르는 물리적인 시간 활용을 보면 염전노예 못지 않다. 결과적으로 수백억을 넘어 조단위의 재산을 쌓은 다음에  하는 거라곤 건물 사서 놔눠 주거나 한 두번 해외여행 가는게 보상의 전부이니 말이다. 전작들과의 비교는 정리하는 부분에서 쓰겠지만,  참 한결같은 스토리 전개 방식이라 안타깝다. 어떠한 이유로든 주인공에겐 상태창이라는 기연이 생기게 되며, 프로그래머인 주인공은 그 상태창을 통해 본인의 능력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IT의 시대가 된 지금 존재하는 모든것에 대해 소프트웨어의 마스터로 성장한다. 주인공의 이름과 약간의 설정 차이 말고는 저자의 같은 소재의 전작들과 거의 차이없는 내용인 셈이다. 다만 이 한계는 코딩에 대해 알고 있는 독자의 지식의 차이일 수도 있다...

[장르소설 리뷰] 탑 코더- SOKIN [2.5]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탑 코더- SOKIN [2.5]  교통사고 이후 0과 1의 세상이 눈에 보인다. 디지털화 된 현대에서 그 기반인 세계를 볼수 있다면?  - 에서 출발하는 이야기. 1. 주인공: 천하무적.  - 방법이 문제지 모든건 이미 알고 있다.  - 완성형 주인공으로 성장보다는 깨달음의 방법론을 찾는 이야기.  - 불가능? 그게 뭔데? 2. 조연: 한결같은 부하(=노예).  - 착착 구성되어가는 노예 인프라.  - 날 봐. 봤어? 멋져! 오케이 마이 보스!  - 생뚱맞은 여주. 진심으로 계획이 있었는지 궁금하다. 가지고 있는 능력의 상향에 조건이 없는 완성형 주인공. 성장하기 보다는 다 알고 있는 거에 필요한 것은 작업에 필요한 시간뿐. 뭐 하나 거리낌 없이 풀어나가기에 전혀 걱정되지 않는 주인공의 이야기가 치사량의 국뽕을 들이키게 한다. 전문가 물이라 디테일에 들어가게 되면 중간 중간 나오는 프로그래밍 코드들이 실재할 수 있는 건지, 혹은 가능한지에 대한 궁금증이 지나가지만 그냥 읽고 지나가게 된다.  - 판타지 소설이나 무협지, 레이드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스토리에 중점을 둔게 아니라 주인공의 성능(?)을 가정하고, 사건을 붙이는 걸로 보인다. 그러니 사건이 벌어질 때 어려움의 순서가 다소 애매한 부분도 있고, 논리적으로 귀결되는 부분도 다소 갸우뚱 하기도 한다.  - 항상 주인공이 이익. 한 번 쯤은 볼만하지만 개인적으로 관련 전문가 물 (프로그래밍, 해킹, 컴퓨터)이 땡긴다면 차라리 동일 작가의 작품인 [코더 이용호]가 더 나은듯 하다.  - 두 작품의 스토리는... 거의 동일하다.  - 본지 꽤 되어서 그런지 모르지만 [코더 이용호]는 개인평점을 [3.5]를 주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5.0] 스토리, 캐릭터, 주제, 필력의 완벽한 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