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문환인 게시물 표시

[장르소설 리뷰] 스마트폰을 든 세종 - 문환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스마트폰을 든 세종 - 문환 [3.5] 왕자 이도 (충녕군).  스마트폰을 얻게 되다. 실시간으로 21세기의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 세종대왕의 이야기. 네이버 시리즈 문피아 카카오페이지 리디 판무림   # 전개 및 특이점. 대체 역사소설에서 많이 사용하는 소재를 사용하지 않은 소설. 회귀, 빙의, 환생의 보편적인 치트키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희대의 천재에게 스마트 폰을 사용하게 함으로 대체 역사 장르에 필요한 먼치킨 치트키를 쥐어주었다. 14세기의 고려의 돌쇠가 스마트폰을 얻는다면 어떻게 될까. 혹은 17세기의 마당쇠라고 할지라도 크게 다르지 않을듯하다. 인지 범위를 벗어난 새로운 기물에 대해 적응할 확률은 높지 않을 듯하다. 소설은 주인공을 세종으로 삼으면서 이 모순을 해결했다. 익히 알다시피 우리 역사 최고의 천재이니까. 언어, 정치, 문화, 군사, 기술, 그리고 예술 등 장르를 불문하고 모든 방면에서 당대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 사람이 존재할까? 당연히 존재하며 그분이 세종대왕이다. 그리고 세종대왕에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소모되지 않는 스마트폰을 줬다. 21세기까지 축적된 역사와 기술을 찾아볼 수 있는 스마트폰이 말이다. 어느 정도 예상은 가능하지만 그래도 묘한 상상에 읽는 맛은 있는 이야기였다. 그리고 소재가 소재이니만큼 스마트폰이 세종대왕에게 간 이유가 전체 소설의 시작이자 끝의 설정이다. 그럴싸한 이유를 만들고 설득력 있게 버무려가며 이야기가 진행된다. 전체적으로 소설을 관통하는 소재가 시간의 축으로 나뉘는 평행우주 이론을 활용했다. 굳이 자세하게 설명하면 스포일러가 되니 어느 정도 자제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한 이유로 평행우주는 생성되며, 생성된 우주는 상호 간섭이 불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