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김이석교수인 게시물 표시

[K-MOOC] 부산과 영화 6~8강. 끝

이미지
 [K-MOOC] 부산과 영화   # 6-1  메이드 인 부산 극영화 • 메이드 인 부산 영화의 침체  • 산업적 영향    - 한국영화 제작비 단기간 급증    - 부산영화와의 격차 발생    - 인력 유출    - 충무로 중심의 한국 영화 산업 구조 급변    - 한국영화 수익률 급감    - 부산 출신 인력의 역외 유출 현상 가속화  • 지역 영화 육성 정책 미비    - 부산국제영화제 중심의 영화 정책    - 수도권 기업 유치 정책    - 지역 영화를 주류 영화로 진입시키려는 의도    - 창작 인력과 작품에 대한 투자와 지원 부족    - 후반작업기지, 영화의전당, 제 2스튜디오 등 건립    - 제작 활성화 정책 미흡    - 인력의 역외 유출 현상 심화 • 부산 영화 Reboot  - 부산영상위원회 장편극영화 제작 지원 확대  - 편당 3,000만원 X 5편  - 부산 영화계의 제작 환경에 맞는 작업 방식  - 저예산 독립장편영화 제작 노하우 축적  - 장르의 다양화 및 차별화된 주제 의식  - 상업성과 예술성의 균형 추구 # 7-1  메이드 인 부산 다큐멘터리 • 부산 다큐멘터리 활성화 원인  - 디지털 영상 장비 보급  - 공적 지원 : 부산영상위원회(2013년 ~현재)  - 창작 집단 중심의 연대와 협업  - 오지필름, 탁주조합, 월요일 아침 등 • 부산 다큐멘터리의 특징  - 폭 넓은 스펙트럼  - 액티비즘 다큐멘터리, 다큐-에세이, 사적 다큐 등 ...

[K-MOOC] 부산과 영화 5강

이미지
 [K-MOOC] 부산과 영화  # 5-1  부산 영화를 일군 사람들 1 • 한국 영화 기술의 개척자, 이필우  - 이필우 : ‘최초’라는 수식어로 설명되는 인물  - 최초의 한국인 촬영기사 : 〈지기(知己)〉(1920)  - 최초의 한국영화 촬영기사 : <장화홍련전>(1924)  - 최초의 한국 유성 영화 사운드 : <춘향전>(1935) • 홍영철, 부산 영화를 기록하다  - 영화사료 수집가  - 포스터, 문헌 등 수집  - 『부산영화 100년』(2001) 『부산근대영화사』(2009), 『부산극장사』(2014) 등  - 한국영화자료원 설립 • 박광수, 영화의 도시 부산의 초석을 다지다  - 한국 뉴 웨이브 대표 감독  - 한국의 대표적 사회파 감독  - 1996년 부산국제영화제 부집행위원장  - 1999년 부산영상위원회 초대 운영위원장  - 2002~2010 부산영상위원회 운영위원장 # 5-2  부산 영화를 일군 사람들 2 • 전수일, 부산에 창작의 열정을 불어넣다  - 전수일은 영화감독으로서 부산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 투자, 제작, 장비, 스탭 등 모든 것이 열악한 상황에서 장편영화 연출  - 초기작들이 잇달아 국제영화제 초청되면서 부산에 창작의 열기를 불어넣음  - 메이드 인 부산 영화 : 부산에서 활동하는 영화인들이 부산의 자본과 인력, 기술로 만든 영화  - 부산에서 완성도 높은 영화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  - 독립적인 영화 제작 방식 구축  - 제작, 연출, 각본, 배급, 상영등 영화의 전 과정을 직접 관장함  - 홍상수, 김기덕과 더불어 독자적인 제작 방식을 구축한 감독 • 조성봉, 부...

[K-MOOC] 부산과 영화 3~4강

이미지
 [K-MOOC] 부산과 영화  # 3-1 영화촬영도시 부산 • 부산 영상위원회 설립.  - 2000년대로 넘어서면서 부산은 영화촬영도시로 각광을 받게 됨  - 부산을 영화촬영도시로 성장시킨 숨은 공신  - 1999년 부산영상위원회 설립  - 국내 최초의 영상위원회 • 부산 영상위원회의 진화  - 영화 촬영 유치를 넘어 영화 정책 기관으로 진화  - 영화 촬영 스튜디오 운영 / 촬영 장비 렌탈 서비스  - 영상산업센터 운영 : 창작실, 사무공간  - 제작 지원 사업  - 부산아시아영화학교 운영 : 국제 프로듀서 학교  - 부산사운드스튜디오 운영 # 3-2 BFC와 부산의 영화정책 • BIFF와 BFC의 성과를 토대로 부산시는 영화를 부산의 4대 전략산업으로 선정 • 부산영화산업 발전 계획  - 1단계 : 영화 촬영하기 좋은 도시(육성기)  - 2단계 : 영화 만들기 좋은 도시(정착기)  - 3단계 : 영상 제작의 중심지(발전기) # 4-1 부산의 영화관 • 부산의 영화관 현황(2019년 기준)  - 영화관수: 29개의 영화관 중 멀티플렉스 27개 (93.1%)  - 스크린수: 217개 스크린 중 멀티플렉스 212개 (97.7%)  - 16개 자치구 중 5개 자치구에는 영화관이 없음  - 동부산에 비해 서부산 지역 영화관 수 부족 # 4-1 대안적 영화관 • 시네마테크 부산  - 부산 영화 문화의 다양성을 상징하는 영화관  - 연간 300편의 고전 예술 영화 상영  - 시네클럽 + 영화 제작 교육 + 비평 교육 등 종합 영화 문화 공간으로서 기능  - 멀티플렉스 극장과는 차별화된 문화적 체험  - 특화된 시,공간적 경험을 선사한 영화관  - 관...

[K-MOOC] 부산과 영화 1~2강

이미지
 [K-MOOC] 부산과 영화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강좌자료 요약본을 정리한 내용. # 1-1 영화도시 부산 • 2014년 부산은 아일랜드의 골웨이(Galway), 불가리아의 소피아(Sofia)와 더불어 ‘유네스코 영화 창의도시’로 선정됨 • 아시아 최초의 영화 창의도시 선정이며, 전 세계적으로 2009년 영국의 브래드포드(Bradford), 2012년 호주의 시 드니(Sydney)에 이어 세 번째로 선정된 것임 일제강점기 부산영화 • 20세기 초에 서울과 거의 같은 시기에 부산에서 영화가 상영되었음 • 1920년대에 부산을 기반으로 한 영화제작사 설립 1950년대 부산영화 • 한국전쟁 당시 임시수도로서 부산은 한국영화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였음 • 국내 최초의 영화평론가협회가 설립된 도시(1958년:부산영화평론가협회) • 국내 최초의 영화상을 개최한 도시(1958년:부일영화상) 1990년대 부산영화 •국내 최초의 국제 영화제를 개최한 도시(1996년) •국내 최초로 영상위원회를 설립한 도시(1999년) 2000년대 부산영화 •촬영 스튜디오 등 영화 인프라 구축 •국내 최대의 예술영화전용관 건립(2011년) •영화영상관련 기관 이전(2013년) # 1-2 부산영화의 시작: 남포동 그리고 나운규 남포동, 부산영화의 출발지 • 부산 영화사 역시 상영으로부터 시작됨 • 1900년대 초 : 부산에서영화상영 •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서양 문물의 수입이 빨랐던 부산에서는 1900년대 초에 영화가 상영되었을 것으로 추정 일제 강점기 부산영화_ 나운규 나운규(1902~1937) • 함경북도 회령 출신 /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감독 겸 배우 • <아리랑>(1926)년 연출 ...

[K-MOOC] 부산과 영화 강좌 소개

이미지
 [K-MOOC] 부산과 영화       >>  [K-MOOC] 부산과 영화 강좌  << 수업내용/목표 - 일제강점기에서부터 한국전쟁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부산이 영화의 도시로 성장해 온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부산국제영화제, 부산영상위원회 등 영화도시 부산의 대표적 영화 자산을 설명할 수 있다. - 영화 속에 투영된 부산의 이미지를 통해 부산이라는 도시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해보고 의견을 말할 수 있다. 분야: 예체능 (연극, 영화) 난이도: 교양 운영기관: 동의대학교 강의 소개 https://youtu.be/l8NySnYIfiU 강좌운영팀 동의대학교  교수자: 영화학과 김이석 교수  현) 동의대학교 영화학과 교수  E-mail: kimiseok@deu.ac.kr 조교: 한국대학교 전산학 박사과정 E-mail: abc@example.com 평가기준 및 이수기준 1. 평가기준   가. 퀴즈 100%     1) 문제 수: 주차별 3문제, 총 24문제 2. 이수기준:  총점 60점 이상 ※ 총 60점 이상 점수 획득 시, 이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8주 (주당 1시간)  강좌 운영 기간  2021.12.06 ~ 2022.02.22 온라인 강의,온라인 공개강좌,학점은행제,study,mooc,k-mooc,공부의 흔적,무크,부산과 영화,김이석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