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우리 글 바로쓰기1인 게시물 표시

[책 리뷰] 우리 글 바로쓰기 1 - 이오덕.한길사.2009

이미지
 [책 리뷰] 우리 글 바로쓰기 1 - 이오덕.한길사.2009 일제 군국주의 식민지 노예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한 교육현실을 비판하면서 어린이들을 지키고 삶을 가꾸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스무 살인 1944년부터 퇴직하기까지 43년 동안 교사로서, 어린이문학가로서 “아이들을 정직하고 진실한 사람으로 키우는 일”에 힘을 쏟았던 이오덕 선생의 『우리글 바로쓰기』시리즈이다. 이 책은 한결같이 ‘우리 말 살리기’라는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의 말과 글을 아름다우면서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또한 외래어를 분별하여 쓰는 법과 잘못 쓰이는 외래어를 바로 잡을 방안들도 제시하고 있다. 1권은 92년 개정된 개정판이며, 선생이 잡지에 연재한 글을 모아 낸 것이 2권, 95년 3권을 펴낸 바 있다. 4권과 5권은 이오덕 선생 사후에 출간된 책으로 외래어 사용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는 글과 어린이를 위한 살아 있는 글쓰기와 풍부한 사례를 제공하고 있다. -책 소개: Yes24 (http://www.yes24.com/Product/Goods/3633834?OzSrank=2) [목차정리] - 중국글자가 파괴하는 우리말. - 일본어가 파괴하는 우리말. - 그리고 영어. - 우리의 글과 말. - 백성과 농민의 말. 유시민 작가의 책중 우리 말의 백신이라는 글을 읽고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 시작해서 무거운 마음으로 다 읽은 책이다. 익숙해 있는 오염된 한국어가 왜 오염되었는지 어떻게 오염되었는지를 질문하고 바른 답을 권유하고 있다. 그 와중에 혼이 난것 처럼 부끄러움을 느끼는 건 오롯하게 읽는 사람의 몫이다. 읽는 내내 이런 말도, 이런 말이? 라는 혼잣말이 끊이지 않을만큼 답답함이 커져갔다. 어린시절 교육의 문제가 아니라 편리함과 익숙함에 길들여졌던것은 아니었을까? 있어보이는 듯한 단어와 문장이 자연스럽게 아는 척 할 수 있었던 자랑의 욕심들이 조금씩 묻어있었던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321p에 이런 얘기가 있다. [ ......내가 보기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