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해외 독립운동기지인 게시물 표시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7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7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7강 해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1. 한인들의 이주와 한인사회의 형성  - 중국 동북지역 이주와 한인사회 형성    → 중국 동북지역 : 요녕, 지린, 헤이룽장 3성 일대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주요 무대    → 동북지역 한인 이주 시작 → 19세기 중엽(지리적 인접, 국내와 비슷한 환경, 1869~1870년 대흉년 등)    → 1905년 이후 정치·사회적 이유(일제 탄압, 독립운동 목적 등)로 이주 증가  - 러시아 연해주지역 이주와 한인사회 형성    → 연해주 한인 이주의 시작 : 1863년 연추(煙秋)의 지신허(地新墟) 정착(함경도 경흥지역 농민 13가구)    → 추풍(秋風), 소왕령(蘇王領, 현 우수리스크), 해삼위(海蔘威, 현 블라디보스토크), 수청(水淸 현 파르티잔스크) 지역 한인 사회 형성    → 블라디보스토크 : 개척리(開拓理) →이동→ 신한촌(新韓村) 형성(1911)    → 1911년 당시 약 20만명 규모의 한인 사회 형성    → 1905년 전후하여 러시아 연해주 지역은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됨  - 중국 관내·미주·일본 이주와 한인사회 형성  - 중국 관내 지역    → 중국 관내 : 하북성 산해관 서쪽지역부터 감숙성 희곡관 동쪽지역까지 지역(실상 한족(漢族)의 활동 강역 및 중화문화의 범주라는 의미)    → 주요 독립운동 활동지 : 상하이, 난징, 베이징, 충칭, 광저우, 옌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