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소설 리뷰] 나 같은 프로듀서는 없었다 - 철야 [2.0]

[장르소설 리뷰] 나 같은 프로듀서는 없었다 - 철야 [2.0] 무려 101번의 엔딩을 본 게임. "메이크 유어 스타" 늘 자유로운 프로듀서를 꿈 꿔왔던 내게 상상의 원천이자 자유를 주었던 게임. 어느날 클로즈베타를 종료한다는 공지를 읽었는데, 그 게임이 현실에서 펼쳐지기 시작했다. 카카오페이지 네이버시리즈 리디북스 조아라 # 전개 및 특이점. 이 소설의 이야기를 정리해보면 게임으로 알고 있던 게임이 현실에서 펼쳐지는데 내가 애정을 가지고 플레이한 캐릭터들이현실의 인물이 되어 내 눈 앞에 있다. 그러니까 현실에서 보이는 이 인물들은 내가 플레이했던 게임 속 캐릭터이었고, 지금은 사람이다. 그래서 현실로 펼쳐진 게임의 내용에서 내가 가장 애정을 가지고 플레이했던 캐릭터이자 사람을 내 손으로 프로듀서 해서 이 오디션에서 우승을 하는게 이야기의 내용이다. 어쨌든 판타지를 표방하니 설정은 그러려니 하더라도 이 말도 안되는 상황을 그러려니 하는 주인공이나 위화감 없는 배경등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된 것인가 나비가 꿈에 장자가 된 것인가. 장자와 나비 사이에 반드시 구분이 있다. 그런데 이 소설은 그런 구분이 없이 뭉쳐놓고 설정이라 던져놓는다. 그 미묘함의 괴리감을 무시하고 현실의 오디션으로 이야기를 끌고가니 애초에 게임이라는 설정은 그냥 이야기의 시작일 뿐인 셈이다. 초반에 나오는 인물에 대한 상태창도 어느 순간 부터는 나오지도 않는다. 270회가 넘는동안 이 소설은 하나의 오디션을 끝까지 치루는 내용이다. 그러다보니 예상 가능한 범위 내의 에피소드들이 이어진다. 주인공이 오디션을 본다? 당연히 우승하지 않을까? 힘 준 듯한 에피소드들도 추측이 가능해지고, 결국 읽는 이에게 공감을 주진 못한다. 게다가 주인공에게 현실의 버프를 너무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