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국권회복운동인 게시물 표시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5,6강 요약

이미지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5,6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5강 국권회복운동의 전개 1 1.의병의 봉기와 전개  - 중기의병의 재기와 확산  - 1905년 11월 을사늑약 → 중기의병 봉기   → 홍주의진 : 안병찬, 채광묵, 민종식 / 홍주성 점령   → 산남의진 : 정환직, 정용기 / 청송, 영천 , 경주 등지에서 활동   → 태인의진 : 최익현, 임병찬 / 정읍, 순창, 곡성 등지에서 활동   → 신돌석 의병 : 영해, 평해. 영양, 울진 등지에서 활동  - 군대 해산 후 후기의병의 확산   → 1907년 헤이그 특사 파견을 구실로 고종 강제 퇴위, 정미조약(군대해산)   → 군대해산 → 전국적 의병 봉기   → 해산된 시위대 의병에 합류 → 의병전쟁  - 지방진위대의 봉기   → 원주 진위대(민긍호, 김덕제 등)   → 강화 진위대(지홍윤, 연기우, 유명규, 김동수 등)  - 지역별 의병 현황   → 중부지역 : 김수민, 이강년, 이은찬, 허위, 연기우, 한봉수, 민긍호 등   → 영남지역 : 신돌석, 정환직 등   → 호남지역 : 고광순, 기삼연, 이석용, 문태서, 전해산, 심남일, 안규홍 등   → 함경도 : 홍범도, 차도선, 태양욱 등   → 황해도, 평안도 : 이진룡, 김관수 등   → 간도 및 연해주(국내진공작전) : 이범윤, 유인석, 최재형 등   → 제주도 : 고승천 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