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게임물인 게시물 표시

[장르소설 리뷰] 멸망한 세계의 농부 - 멍멍킴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멸망한 세계의 농부 - 멍멍킴 [2.0] 다양한 이유로 사람을 피하며 살았다. 정신과 의사가 권한 게임 안의 세상에서 조금씩 괜찮아지던 어느 날. 세상이 내가 이용하던 게임으로 변했다. 세상은 아포칼립스로 변했지만 내 직업은 농부. 농부! 네이버 시리즈 리디 카카오페이지 문피아 판무림   # 전개 및 특이점. 허접하게 보이는 주인공의 직업을 먼치킨으로 잘 포장한 게임판타지 소설. 조각사를 가지고 골수까지 뽑아먹은 달빛조각사 못지 않게 농부라는 직업을 가지고 상상할 수 있는 최대한을 우려먹었다. 상상이 잘 안된다면 plants ve zombie 게임을 떠올리면 된다. 모티브만 딴게 아닌지 매우 흡사한 캐릭터와 구조를 활용했다. 식물 종자에 따라 특성을 분류하여 소환물처럼 다뤄 독특하게 보일수 있지만 결국 저 게임을 아느냐 모르느냐에 따라 소설 평가도 나뉠것 같다. 초반에 주인공의 특징이 신선해서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나갈까 궁금했다. 대인기피증이 심한 주인공이 아포칼립스에서 농부 직업을 가진다? 결국 먼치킨으로 성장할건 뻔한데 주인공의 변화가 궁금했다. 답은 개인 평점처럼 딱히 의미있게 다루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힘이 커지면서 이겨내며 엔딩. 이렇게 전개를 할꺼면 굳이 저런 설정을 넣을 필요가 있었을까 싶다. 세계관 배경이 아포칼립스이다보니 급격한 변화에 따른 인물들의 적응도 꽤 흥미로운 요소일텐데 그런 부분은 없다. 세상이 멸망했는데 다들 적응 잘하고 산다. NPC도 자연스럽게 등장하지만 사람들이 이 세계에 너무 적응 잘하다보니 딱히 구분할 필요도 없이 모두가 게임 캐릭터처럼 살아간다. 마치 처음부터 그랬던것처럼 전혀 이질감 없다. 의도한대로 농부라는 직업을 바탕으로 무분별한 능력확장을 통해 ...

[장르소설 리뷰] 남자가 게임을 잘함 - 치킨먹으려고돈범 [2.0]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남자가 게임을 잘함 - 치킨먹으려고돈범 [2.0] 카카오페이지 문피아 네이버 시리즈 프로게이머 2군 은퇴 후 눈 떠 보니 내 몸인데 내 몸이 아닌 듯 한 느낌. 남녀의 역할이 반전된 평행세계(?)의 내가 되었다. 할 줄 아는게 게임뿐이니 뭐.  - 뭐 이런 내용. 1. 주인공: 애초에 저 능력이면...  - 2군에 있었을까 1군은커녕 프로 씹어먹고 다녔지.  - 일반인 입장에서 보면 또라이 같은 성격이랄까.  - 그런데 표현은 츤데레 처럼 묘사한다. 주인공 보정. 2. 조연: 준비된 조연.  - 이야기에 필요한 조연.  - .... 인줄 알았지만 결국은 배경으로 나락.  - 어정쩡한 하렘구조에 주인공이 모두를 관심없어함.  - 적어도 정치적올바름 논쟁은 피할듯.  묘사나 배경설명이 부족하긴 하지만 대체적으로 남녀의 역할과 입장이 역전된 세계이다. 여자는 듬직하고 돈 잘 쓰며 군대를 다녀오고, 사장, 변호사, 공무원 등등 사회적요직엔 전부 여자가 자리잡고 있고 남자들을 가련하고 연약하며 보호받아야 할 약자로 설정되어있다. 그러다보니 마초 까진 아니라도 평범한 남자로 살아 온 남자가 그 세계로 가니 회소성 있는 남자...... 가 되어버렸다. 비유하면 김태희급 미모의 여성이 성격 밝고 유쾌하며 싸움 잘하고 게임 잘하며 주변에 안좋은 소문도 없는 뭐 그런 상황. ......에서 해본거라곤 게임밖에 없으니 게임 BJ로 성공하는 이야기. 줄이고 나니 정말 별 내용없는데 실제로도 별 내용없다. 더군다나 BJ물이다 보니 그 쪽 세상의 온갖 드립들이 난무하는데 솔직히 1/3도 이해못하는 단어와 문장들이다. 순간 작가가 일베인가 싶을 정도로 DC와 일베의 문화들이 난무한다.   문체는 엉망이고 문장도 딱히 좋지는 않다....

[장르소설 리뷰] 이계에서 독점방송 - 대문호 [3.0]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이계에서 독점방송 - 대문호 [3.0] 카카오페이지 리디북스 클리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 전 세계인이 이용하는 게임. 5년간의 플레이 끝에 클리어 후 개발사의 보상을 기다리는 도중 게임속으로 끌려가 버렸다.  이젠 게이머가 아닌 실제 상황으로 다시 클리어 해야 한다. 1. 주인공: 대기만성형 먼치킨.  - 세계에서 유일하게 클리어 한 만큼 게임상의 대부분의 공략을 알고 시작한다.  - 정해진 루트대로 착착 밟아나가는 성장물.  - ... 인듯 하지만 클리어한 많은 루트중 최고의 선택이 이어져 예상했던 먼치킨이 된다.  - 모든 루트를 알고 있기에 지능 100이 아니라 예언 100정도의 능력치 랄까.  - 기본적으로 말빨로 조지고 힘으로 무너뜨린다. 여포의 육체 능력에 제갈량의 지모랄까. 2. 조연: 너 좋은놈. 너 나쁜놈. 딱 하나의 예외.  - 등장 했다 사라지고 다시 만나는 인연들은 모두 정해진 루트 안에 있다.  - 에초에 사건이랄까 이벤트 역시 경험했던 많은 루트안에 있다.  - 그리고 존재감 사라지는 조연들. 게임의 설정들이 디아블로를 생각나게 하는 세계관이다. 마을과 마을을 이동하며 챕터별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구조라 별 다를 것도 없지만 정해진 이벤트는 순서대로 일어나기때문에 싱글 플레이 게임을 소설로 풀어놓은듯한 느낌이다. 주인공은 모든걸 알고 있고 강해지는 최적의 루트로 성장하기 때문에 진행에서의 긴장감은 거의 없다. 다만 게임내의 내용을 풀어내는 이야기가 자연스럽고 흥미를 자아내게 한다. 어찌보면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바로 덮지 않게 하는 이유는 필력이랄까. 글 못 쓴다라는 생각은 안들게 찰지게 써내려 가지만 이 소설의 구성상 모든걸 알고 있고 그 디테일을 필력으로 메꾸기 때문에 약간의 호불호는 나뉠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