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 부산과 영화 6~8강. 끝
[K-MOOC] 부산과 영화 # 6-1 메이드 인 부산 극영화 • 메이드 인 부산 영화의 침체 • 산업적 영향 - 한국영화 제작비 단기간 급증 - 부산영화와의 격차 발생 - 인력 유출 - 충무로 중심의 한국 영화 산업 구조 급변 - 한국영화 수익률 급감 - 부산 출신 인력의 역외 유출 현상 가속화 • 지역 영화 육성 정책 미비 - 부산국제영화제 중심의 영화 정책 - 수도권 기업 유치 정책 - 지역 영화를 주류 영화로 진입시키려는 의도 - 창작 인력과 작품에 대한 투자와 지원 부족 - 후반작업기지, 영화의전당, 제 2스튜디오 등 건립 - 제작 활성화 정책 미흡 - 인력의 역외 유출 현상 심화 • 부산 영화 Reboot - 부산영상위원회 장편극영화 제작 지원 확대 - 편당 3,000만원 X 5편 - 부산 영화계의 제작 환경에 맞는 작업 방식 - 저예산 독립장편영화 제작 노하우 축적 - 장르의 다양화 및 차별화된 주제 의식 - 상업성과 예술성의 균형 추구 # 7-1 메이드 인 부산 다큐멘터리 • 부산 다큐멘터리 활성화 원인 - 디지털 영상 장비 보급 - 공적 지원 : 부산영상위원회(2013년 ~현재) - 창작 집단 중심의 연대와 협업 - 오지필름, 탁주조합, 월요일 아침 등 • 부산 다큐멘터리의 특징 - 폭 넓은 스펙트럼 - 액티비즘 다큐멘터리, 다큐-에세이, 사적 다큐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