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고광인 게시물 표시

[장르소설 리뷰] 환상의 화원 - 고광(高光)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환상의 화원 - 고광(高光) [2.5] 살기 위해 그림을 그리는 기술을 귀족에게 팔았던 뛰어난 화가. 변화를 거부하고 현실에 수긍했기에  평이 극단적으로 나뉜 예술가, 피에르 울리엘. 100년이 지나 대한민국의 중학생 몸에서 전생을 기억하게 되었다. 리디 https://ridibooks.com/books/425289021 네이버시리즈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6787842 문피아 https://novel.munpia.com/280291 카카오페이지 https://page.kakao.com/content/59701776 판무림 https://www.fanmurim.com/book/2015911   ▷ 전개 및 특이점. 귀족들을 위한 그림 기술자였던 전생의 기억을 딛고 현생에서 진정한 예술가로서의 삶을 살아간다는 소설. 크게 다르지 않은 뻔한 소재를 기본으로 한 환생 먼치킨 소설이다. 어떤 재료를 가지고 요리를 하는가의 차이는  결국 요리사의 실력에 따라 다른것처럼 흔한 소재이지만 깔끔한 기승전결로 뚝딱 한그릇 만들어냈다. 매력있는 가상의 인물의 환생을 바탕삼아 당시의 그림 기술을 녹여 현대에서 재현하다보니 별다를 표현 없이 세간의 찬사위에서 예술가로 칭송받는다. 그걸 공감할 수 있냐는 다른 문제이고 말이다. 전체적인 내용만 보면 소재만 바꾸면 끝도 없이 쓸 내용이다. 그림이 아니라 무용, 클래식, 노래등 소재 하나 바꾸면 다 어디서 본듯한 직업 환생물과 다른 점이 크게 보이지 않는다. 적당히 중세 예술가들의 이름을 빌리고, 주인공 전생의 행동을 교차적으로 보여주며, 손가락만 까딱해도 무수한 권력자들이 주인공의 뒤에서 후원을 한다. input에 비...

[장르소설 리뷰] 배우로서 살겠다 - 고광(高光)

이미지
 [장르소설 리뷰] 배우로서 살겠다 - 고광(高光) [3.5] 가난이 싫어 성공만을 쫒으며 살았다. 남부럽지 않게 살며 앞만 보며 달렸다. 나만 바라보면 어머니조차 잊은채. 어머니의 죽음으로 삶의 의미를 잃은 채 바닥의 바닥으로 떨어진채 삶을 마감했다. 그리고 다시 눈을 떴다. 리디 문피아 네이버 시리즈 판무림   # 전개 및 특이점. 큰 헛발질 없이 꾸준하게 한 길만 파며, 마무리되는 스토리. 보통 이런 배우물이 욕심내다가 감당하지 못하게 커지는 스케일에 대충 수습하며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다. 적어도 이 소설은 그런 허튼짓은 딱히 하지 않는다. 반대로 새로울 게 없다는 말은 매력이 없다는 말도 된다. 이야기 속에 반전을 심어 두지도 않았고, 주인공에게 성장에 반하는 빌런이 존재하지도 않는다. 오로지 자신의 노력과 비례한 성장을 꾸준히 따 먹어가며 성공하는 스토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게 장점이자 단점으로 보인다. 그래서 연예계 배경으로 한 배우 먼치킨이라기보다는 힐링물에 가깝게 읽으면 딱히 부담 없다. 전생의 삶을 후회하기에 현생에 삶에 충실하다. 오로지 성공만 바라보며 혼자 달렸기에, 주변을 보게 된다. 노력해서 성공했던 삶을 바탕에 두고 다시 노력을 덧댄다. 진심으로 가족을 챙기며 삶에 충실하다. 이게 힐링물의 조건 아닐까? 가끔 보이는 개똥철학들이 거슬리기도 하지만, 말도 안 되는 설정으로 배우가 씹어먹는것 보단 낫다. 어쨌든 소설 속 주인공이라면 흘러가는 데로 대충 수습하는 거 보다 인물의 줏대를 가지고 사는 게 더 설득력 있어 보이니 말이다. 어머니에 대한 감정이 이해는 가지만 다소 과한 느낌은 있다. 다만, 50을 넘어서 본인 인생의 삶의 축이 부러졌고, 그걸 다시 세울 기회가 왔다고 공감해보면 크게 부담스러워 보이진 않는다. 보수적이라는 게 오염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