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푸른책들인 게시물 표시

[책 리뷰] 너도 하늘말나리야 - 이금이.(송진헌 그림).푸른책들.2007

이미지
 [책 리뷰] 너도 하늘말나리야 - 이금이.(송진헌 그림).푸른책들.2007 ‘이 시대의 가장 소박하고 진솔한 이야기꾼’이라는 닉네임을 갖고 있는 이금이 작가는 1984년 새벗문학상에 동화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한 이후, 20여 년 동안 진한 휴머니티가 담긴 감동적인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 왔다. 『너도 하늘말나라야』는 사춘기에 접어든 세 친구가 많은 아픔을 견뎌 내면서 성장하는 이야기이다. 작가는 이 세 친구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마음속을 들여다볼 줄 아는 사람만이 다른 이의 마음도 감싸안을 수 있음을 아이들에게 일깨워 준다. 미르, 소희, 바우는 각각 성장 환경이 다르지만 ‘가정의 결손’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아이들은 마음속 상처에도 다르게 반응을 하지만 자신이 미처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조금씩 그들은 쓰리고 아픈 상처를 자신의 힘으로 치유해 나간다. 또한 자신의 아픔에 힘겨워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아픔을 들여다본다. -책 소개: Yes24 (http://www.yes24.com/Product/Goods/2495002?OzSrank=1) [목차정리] - 얘 이야기. - 쟤 이야기. - 점 마 이야기. 백합과로 하늘을 향해 피어나는 꽃. 여러해살이 풀이며 관상용, 식용으로도 쓰인다. 왜 하늘말나리여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무언가가 의미가 되어 나에게 닿을때 가능하면 이해하려 노력한다. 많은 경우 그냥 받아들이며 "그런게 있나보다" 하고 생각하지만 목에 걸린 가시처럼 잘 받아들여지지 않을때가 있다. 창작동화이고, 그 안에 내용과는 달리 이상하게 제목이 입에 붙지 않는다. 내용 상으로 설명이야 되지만  이유를 찾고자 함이 나이가 먹었다는 반증인거 같아 씁쓸하다. 아이가 성장하는 그 과정을 그려낸 책이다. 일반적이지 않은 가정의 세 아이가 커 가는 시간을 따뜻하게 보여주는 듯 하다. 내가 혹은 나만이 세상의 주인공이었던 아이가 그 안전한 철조망이 망가뜨려졌을때의 아픔과 그것조차 가진적 없는 아이. 그리고 잃은 줄도 몰랐던 아이. 입장...

[책 리뷰] 동화 창작 교실 - 이금이.푸른책들.2006

이미지
 [책 리뷰] 동화 창작 교실 - 이금이.푸른책들.2006 그동안 동화창작에 대한 실제적인 노하우를 담은 국내 이론서가 전혀 없어서 동화작가 지망생들은 높은 열정을 지니고도 자신이 나아갈 바를 좀처럼 개척하기가 어려웠다. 이 책의 저자 이금이도 신인작가 시절엔 결코 예외가 아니었다. 이 책에는 20여 년간 꾸준히 창작 활동을 하며 『너도 하늘말나리야』, 『밤티 마을 큰돌이네 집』, 『유진과 유진』 등 20여 권의 작품집을 펴낸 동화작가로서, ‘푸른아동문학아카데미’를 통해 수많은 신인작가를 길러 낸 선생으로서 자연스럽게 체화된 이금이 작가만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들어 있다. -책 소개: Yes24 (http://www.yes24.com/Product/Goods/2126989) [목차정리] - 동화를 어떻게 쓸것인가. - 읽는 대상에 대한 예의. - 일반 소설이 아닌 동화의 특성과 구조. - 여러 종류의 동화. - 등단에 관한 오래된 정보. 요즘이라기는 조금 된 책이지만 최근의 아동용 책들과 비견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 기조를 설명하고 있다. 성인이 되며, 책 읽는 맛을 느끼게 되며 청소년 소설, 동화등은 손대지 않게 되었지만 가끔 보이는 아동소설들의 방향성은 꽤 신선하게 다가온다. 동화나 청소년 소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읽는 대상에 대한 예의일 것이다. 그 예의는 사회적인 기준에서 최소한이라기 보다는 좋은 것을 보고 듣고 느끼게 하려는 어른의 배려가 아닐까 싶다. 성인이 되고 나서야 선택도 책임도 본인이 오롯이 지는법이지만 그 전까지는 옳고 바르다에 대한 기준을  이야기를 통해 권해주는건 매우 흥미로운 일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소설창작에 관한 이야기를 바탕에두고 동화라는 특성에 맞게 조율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어떤 주제를 가지고 어떤 식으로 얘기하며 읽고 소통하고 싶다는 작가의 생각이 바닥에 켜켜이 쌓아가며 말이다. 다음에 책을 고를 때 이 작가님의 책을 읽어봐야 겠다. 정리하면 동화라는 분야에 대해 알게 되었고,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