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인 게시물 표시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4강 요약 (끝)

이미지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4강 요약 (끝)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DHUk+DHUk13k+2021_T2/course/ # 14-1 탈모에 유용한 본초 및 방제 1. 하수오(대首鳥)  - 간과 신장의 기능을 도와주며, 정혈(精血)을 보태는 효능  - 모발의 건강을 위해 다용하는 한약재 2. 만형자 (養菊子)  - 풍열 (風熱)을 제거하고 머리와 눈을 차갑게 식히는 효능  - 장수발 (長繼髮): 수염과 털을 기르는 효능 3. 측백업(側相葉)  - 혈 (血)을 식혀주고 지혈 (止血)을 시키는 효능  - 오수발 (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 # 14-2 피부 색소질환에 유용한 본초 및 방제 1. 피부색소질환  - 주로 햇빛에 노출이 되면서 피부에 갈색의 반점이 생기는 질환   - 원인   → 외부의 나쁜 기운   → 내부장기의 불순물   → 혈액순환 장애 등 2. 백강잠伯彊置)  - 청열해독(淸熱解毒):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효능  - 화담산결 (化疫散結): 몸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능  - 멸반흔 (減龐療): 흉터나 반점을 없애는 효능  -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완화 3. 백부자(泊附子)  - 거풍(祛風): 각종 풍(風)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하는 효능  - 활담(譜疫): 체내 노폐물 제거하는 효능  -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완화 4. 경옥고(遺玉富)  - 본성을 길러 오래 살게 하는 약  - 기(氣)와 혈(血)을보충하여 인체의 여러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  - 피부를 윤택하...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3강 요약

이미지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3강 요약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DHUk+DHUk13k+2021_T2/course/ # 13-1 본초학 및 방제학의 정의 1. 본초학이란  - 질병 치료 및 예방에 활용되는 각종 식물, 동물, 광물에 관한 학문  - 한약재에 대한 기원(基原), 채집 (採集), 포제(趙製), 귀경 (M 經), 성미 (性味), 효능(效能),      주치 (主治), 금기 (禁忌)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 2. 방제학이란  - 하나의 약재 혹은 하나 이상의 약재를 배합한 한약처방에 관한 학문  - 방제의 구성(構成) 및 가감(加減), 치법(治法), 분류(分類), 제형(劑型), 용법(用法)에 관한 내용을 학습 # 13-2 본초의 약성 및 방제의 응용 1. 본초학의 약성(燥性)  - 사기 (四氣): 차가운성질, 서늘한 성질, 따뜻한 성질, 뜨거운 성질  - 오미(五味)   → 신맛: 수렴하는효능   → 쓴맛: 배설하는효능   → 단맛: 보충하는 효능   → 매운맛: 발산하는 효능   → 짠맛: 부드럽게 하는 효능  - 여러 성질이 한약재의 효능에 영향을 줌 2. 방제의 구성원리  - 방제는하나이상의 본초를 일정한 원리에 의거하여 조합한 처방  - 군신좌사(君臣住使) 이론   → 군약(君藥): 주증 (主證)을 치료하는 본초   → 신약(臣藥): 군약을 도와...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2강 요약

이미지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2강 요약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DHUk+DHUk13k+2021_T2/course/ # 12-1 경락 마시지의 활용 1. 경락마사지의 활용  - 한방피부미용은 우리 고유 한의학의 근본원리를 미용에 접목해서 발전하는 것  - 응용분야: 경락을 o |용한 비만관리, 피부관리, 두피 및모발관리, 발 건강관리 등  - 얼굴이나피부는 오장육부 (五穴膽) 의 거울  - 피부 문제를 단순히 피부만 치료하는 것은유지 관리에 어려움이 있음  - 마사지: 건강의 유지 증진과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목적으로 시행하는서양식 수기 요법  - 경락마사지 : 경락이론을 바탕으로사람의 손을 직접 사용하여 인체의 체표에 흐르는 기의 흐름을                    원활히 소통시켜주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회복과 유지하는 마사지  - 십이경근, 십이피부 이론을 주로 활용함  - 경락마사지의 개념: 경혈을자극하는 경혈지압, 십이피부를자극하는 경피마사지, 십이경근까지                            자극하는 경근마시지 2. 질환에 따른 경락마사지의 특정과 발생기전  - 경락마사지의 효과   → 기혈 순환촉진: 혈액 및 임파액의 순환을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함   → 전신 생체 조절 기능향상: 자율신경 실조 조절, 내장 기관의 기능을조절, 내분비 상태 조절 ...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1강 요약

이미지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1강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DHUk+DHUk13k+2021_T2/course/   # 11-1 경혈과 경락 1. 침구요법의 정의 및 원리  - 경락과 피부는 침구 요법에 바탕이 되는 이론이다.  - 음양오행학설과 장상학설, 경락학설을 통해 환자 상태를 변별한다.  - 한의학에서 음과 양의 상태를 구분하고, 장부와 경락의 문제를 변별하여 물리적 자극을 준다.  - 물리적 자극은 침, 뜸, 부항 등의 모든 수기요법을 이르는 말로 질병예방, 완화,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  - 화학적 자극은 한약으로 볼 수 있으며, 한의학적 치료는 한약과 침, 구로 나눌 수 있다.  - 침구요법은 물리적 자극이 주체이며 모든 수기요법을 포함한다.  - 침구요법은 한방 도구의 개량과 발전으로 전침, 전열기구, 전기 뜸, 약침, 의료용 레이저 등을 포함한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 현대적으로 경락학설의 기초 위에 해부생리지식을 결합하여 근육학, 신경학적 치료에 활용한다.  - 침구요법의 원리는 마사지의 원리와 비슷하게 볼 수 있다.  - 한의학 최고 고전인 황재내경에서 침을놓는 법도는 ‘조기’라하여 기를 조절하는 것이라 말한다.  - 조기는 경락이나 오장육부에 있는 기의 불균형을 조절하며 불협조 상태를 협조 상태로 회복한다.   - 한방적으로 통증과 병증은 기의 운행이 정체된 것이라 보고 기의 운영은 다양한 치료방법을 통해     인체 각 기관 조직의 기능 실조 조절 치료가 목적이다.  - 한방치료는 한의학적 기본 이론을 통해 환자상태를 변별하...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0강 요약

이미지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10강 요약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DHUk+DHUk13k+2021_T2/course/   # 10-1 소음인의 피부 병리와 관리 1. 소음인의 병리와 특징 증상  - 강한 신(腎)과 약한 비(脾)의 차이로 한(寒) 성 병증이 발생  - 소화력이 약하고 영양 흡수가 적고 물을 적게 마시고 땀이 적은 편 2. 소음인 피부의 특정  - 피부가 희고 탄력이 적고 부드러움  - 모공이 작고 땀이 적음,대부분이 건성 피부 3. 소음인 음식,운동, 마음 수양  - 음식: 찹쌀,닭고기, 가자a I, 마늘, 파,양따,양배추, 사과,복숭아,카레,꿀등 따뜻한 성질  - 운동: 충분한 소화시간 가질 것,짧고 가벼운 유산소 운동,충분한 보습과 자외선 차단제  - 마음: 고집을 줄일 것, 작은 일에 집착하지 말 것, 다른 사람과 충분히 소통 # 10-2 소양인의 피부 병리와 관리 1. 소양인의 병리와 특정 증상  - 강한 비(脾)와 약한 신 (腎)의차이로 열 (熱) 성병증이 발생  - 변비가 찾음, 더위를 잘 타고 찬물을 좋아함,불규칙한 식사, 스트레스에 약함 2. 소양인 피부의 특징  - 피부가 희고 탄력적이고 부드러움  - 모공에 민감함,건성 피부가 가장 많고 다음 복합성 피부 3. 소양인 음식,운동, 마음 수양  - 음식: 보리,돼지고기,해삼,전복, 배추, 상추,오이,콩나물, 우유,수박, 참외,            파인애플, 녹차등 차가운성질  - 운동: 하체 위주의 등산,러닝 머신,높은 기온과 뜨거운 햇빛은 주의,...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9강 요약

이미지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9강 요약 [K-MOOC] 스킨케어, 한의학과의 만남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DHUk+DHUk13k+2021_T2/course/ ※ 8주차는 중간고사 일정으로 25문항의 4지선다 객관식 시험으로 강의는 없습니다.   # 9-1 사상의학의 유래와 기존 한의학과의 차이 1. 사상의학의 유래  - 지행(知行)으로 대표되는 유학을 기반으로 사상의학 이론을 전개  - 대표 저서로 유학 서적은 격치고, 의학 서적은 동의수세보원 2. 사상의학과 전통 한의학의 차이  - 전통 한의학은 우주와 인체 모두 기(氣)로 이뤄지며 음양오행론을 따름  - 자연과 사회 속에서 인간은 자율성을 지닌 존재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됨 3. 사상의학의 특징  - 인간 중심적 사고로 인간, 자연, 사회현상 모든 것을 4가지로 분류  - 4가지 체질에 맞게 마음과 몸을 다스리면 건강 및 장수할 수 있다는 치료, 양생 및 예방의학 # 9-2 체질별 생리 병리 1. 사상체질벌 생리  - 선천적인 애노희락(哀怒喜樂)의 차이가 장부의 기능차이를 유발  - 태양인은 폐(肺)가 강하고 간(肝)이 약해서기액(氣液)을 소모  - 태음인은 간(肝)이 강하고 폐(肺)가 약해서 기액(氣液)을 처장  - 소양인은 비(脾)가 강하고 신(腎)이 약해서 수곡(水榖)을 받아서 발열  - 소음인은 신(腎)이 강하고 비 (脾)가약해서 수곡(水榖)을 내보내서 청열 2. 사상체질별 병리  - 정신적 원인, 신체적 원인을 통해 장부 강약의 차이가 지나치면 병이 됨  - 태양인은 소모성, 태음인은 정체성, 소양인은 열성, 소음인은 한성의병증이 발생 3. 사상의학의 치료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