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소설 리뷰] 아니요. 떡볶이집 할 건데요 -fides [3.5]
[장르소설 리뷰] 아니요. 떡볶이집 할 건데요 -fides [3.5]
ㅎ
방황하던 어느 날.
우연하게 파란 머리의 남자를 만났다.
소원을 이루게 해줄테니 유일한 유품을
달라고 하는 남자의 말에 흔들린다.
할머니의 레시피로 떡볶이를 팔며
소소하고 한가하게 살고 싶었는데...
응? 귀신 때려잡는 일을 해달라고?
리디
https://ridibooks.com/books/3586062709
카카오
https://page.kakao.com/content/64682399
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10118532
문피아
https://m.munpia.com/novel/detail/366420
▷ 전개 및 특이점.
착하게 살라는 할머니의 유언을 따르며
소소하고 한가하게 살고 싶었는데,
인생이 이상하게 흘러간다.
현대의 이면에서 일어나는 기이한 일들과
그 일들을 조율하는 관리자들.
갑작스레 이면세계의 중심에 서버렸고,
인과율의 세계를 지키는 관리자들과 함께하는
전혀 소소하지 않은 이야기.
현대 배경, 동양풍 판타지, 퇴마 & 사신수 요소가 섞인 이능물이다.
주인공 강윤성은 불우한 환경 속에서 버티며 살아가고 있다.
떡볶이집을 하고 싶다는 목표 하나로 열심히 살아가지만,
어느 날 푸른 머리의 남자(청룡)를 만나면서
자신도 모르는 거대한 흐름 속에 휘말리게 된다.
주인공에게 부여된 ‘소원성취 시스템’
우연히 청룡과 엮이면서 주인공은 특별한 시스템을 부여받는다.
"열심히 하면 떡볶이집을 차릴 수 있겠지?" 라고 생각하지만,
그 과정에서 귀신도 잡아야 하고,
사신수의 균형도 유지해야 하고, 세상의 흐름도 지켜야 한다.
할 것 많아 보이지만 주인공의 능력보정이 그 모든걸 가능하게 만든다.
떡볶이집은... 현실임을 자각하는 키로 존재하고,
결국 소설의 내용은 동양 판타지 이다.
초반부: 현실적인 삶, 떡볶이집을 향한 꿈, 가족사
중반부: 이능력 각성, 귀신과 악귀 퇴치, 신수(靈獸)들과의 관계
후반부: 스케일이 커지며 거대한 운명과 맞닥뜨림
즉, 처음에는 잔잔한 힐링물 + 성장물 같지만,
뒤로 갈수록 동양 퇴마 판타지로 급격하게 전개가 바뀐다.
결국, 스케일이 커지면서 초반 설정이 묻힌다.
처음에는 농장 경영 게임(?) 같은 설정도 있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비중이 줄어든다.
특히, 떡볶이집 경영 요소는 사실상 후반부 외전에서야 등장.
기대했던 '장사물'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
▷ 주인공 (프로타고니스트.protagonist)
- 맛있는 떡볶이집 창업이 목표.
- 여러모로 호구로 보임.
- 성장하는 듯 하지만.. 공감은 잘 안됨.
- 정신적 성장보다 능력의 성장이 더 빠른듯.
▷ 적대자 (안타고니스트.antagonist)
- 순리를 왜곡하는 자.
- 인과를 거스르는 자.
▷ 정리
제목만 보면 떡볶이집 창업물 같고,
표지만 보면 따뜻한 음식 힐링물 같지만,
정작 뚜껑을 열어보면 사신수, 귀신, 신령들이 난무하는 동양 판타지 퇴마물이다.
이 소설을 제대로 이해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떡볶이집은 후반부에 가서야 나온다."
즉, 장사물 기대하고 보면 낚이고,
이능물로 보면 꽤 만족할 수 있는 작품이다.
아무래도 이런 류의 이야기를 가장 처음에 접한것이 퇴마록이다보니
기억을 더듬어 비교하게 되는건 어쩔 수 없다.
100% 독창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지만 분명 신선한 점은 있는 이야기이다.
다만 전체적으로 완성도가 떨어지는 부분이나
산만한 캐릭터의 활용, 애매한 설정과 전개등은
오랜만에 보는 어반 판타지다보니 좀 아쉽게 느껴진다.
당연하겠지만 분식집 경영물과는 몇 광년 떨어진 이야기이다.
제목과 표지에 낚이면 뭔가 싶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된다.
장사, 창업물을 기대했다면 당연히 추천하지 않는다.
반면, 동양풍 판타지 & 퇴마물을 좋아한다면
꽤 읽어볼만 하다고 생각된다.
[5.0] 스토리, 캐릭터, 주제, 필력의 완벽한 조합. (매우 주관적인)
[4.0] 충분히 재미있는 소설.
[3.0] 킬링타임. 시간은 안 아깝다. 평균점.
[2.5] 읽긴 다 읽었는데.. 아쉬움. 평균점.
[1~2.0] 거의 대부분 읽다 포기. 지금 나에겐 읽기 힘든 소설.
- 이야기 전개의 설득력 저하.
- 큰 하자가 있는 이야기 (결말, 동기등).
- 포기 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