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12, 13강 요약
[K-MOOC]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바로가기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IHK+IHK01+2021-01-1/about
12강 국외의 독립운동1 - 중국
1. 중국에서의 항일무장투쟁 - 1920년대
- 만주지역의 독립군 단체
- 북간도
→ 대한독립군(홍범도)+군무도독부(최진동) = 대한북로독군부(1920. 5.)
→ 북로군정서(서일) → 1919년 1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군사조직으로
재편(개칭: 대한북로군정서)
- 서간도
→ 서로군정서(이상룡, 김동삼) - 신흥무관학교(독립군 양성) → 북로군정서
교관 파견
- 독립군의 국내진공과 봉오동 전투
→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전쟁의 원년’ 선포
→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 헌병 경찰 소대 격파, 추격대와의 교전 → 삼둔자
전투(1920. 6. 4.)
→ 1920년 6월 7일 월강추격대와 독립군 간의 전투 발생(봉오동 전투)
→ 중국군벌을 동원한 일본군의 압박으로 독립군 연합부대의 이동
→ 1920. 10. 2. 훈춘사건 → 일본군의 간도 출병
→ 간도참변(3,469명 피살, 3,200여채 가옥 소실)
→ 10월 21일 일본군 19사단 예하 부대와 독립군 연합 부대 간의 첫 전투
발발(백운평 전투)
→ 10월 21~26일 10차례의 전투 끝에 독립군의 대승(청산리 대첩)
→ 새로운 근거지 마련을 위해 이동한 러시아 자유시에서 한인 무장단체 간의
분쟁 발생(자유시참변)
13강 국외의 독립운동1 - 중국
2. 중국에서의 항일무장투쟁 - 1930년대
- 조선혁명당 산하 → 조선혁명군,
- 한국독립당 산하 → 한국독립군,
-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 산하의 → 동북인민혁명군(1936년
동북항일연군으로 재편)
- 조선혁명군의 활동
→ 남만주의 주요지역에 배치
→ 일제 주구기관과 친일파 처단, 국민부 의무금 징수, 군자금 모집,
교민보호, 독립군 모병 활동.
→ 1932년 일본경찰과 중국 보안대의 습격으로 대거 체포.
→ 이후 조직 재편되어 요녕 민중자위군 11로군으로 편성.
→ 신개령 전투로 200여명 적 살상.
→ 이후 6차례 전투를 거듭하며 1,000명의 적을 살상.
→ 1934년 9월 양세령 사령관 전사이후 김활석 신임 사령관 임명.
- 한국 독립군의 활동
→ 1930년 7월 재만한국독립당이 만주사변 직후에 결성한 무장단체
→ 당 군사위원장 지청천을 총사령으로 150명의 실제병력
→ 1932년 길림자위군과 함께 쌍성보를 공략하여 대승.
→ 1933년 6월 30일 대전자령전투의 승리로 한국독립전쟁사상 최대의 전과.
- 동북인민혁명군의 활동
- 조선의용대의 활동
-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활동
→ 아나키스트 계열의 무장조직.
→ 중국의 군관학교 출신 많음
3. 중국에서의 항일무장투쟁 - 1940년대
- 한국광복군 설립
→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군대를 편성하고 항일전쟁을 위한 조직 설립.
→ 일본군 점령지역의 한인청년을 대상으로 병력 모집.
→ 미주교포의 적극적인 재정 후원
→ 중국정부를 상대로 군대 편성에 대한 교섭
→ 총 사령 지청천, 참모장 이범석을 구성으로 3개 지대로 편성.
- 한국광복군의 통합
→ 1940년에 들어 중국 관내에서 각기 활동하던 독립운동 세력이 결집됨.
→ 일제의 패망이 예견되고 조국 독립에 희망을 갖게 됨.
→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조선의용대등 무장조직이 편입됨.
→ 한국광복군 부사령으로 김원봉 선임.
- 한국광복군의 활동
→ 태평양전쟁은 예견된 일이자 고대하던 사건.
→ 1941년 12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본에 대해 선전포고 발표.
→ 미일간의 전쟁 이틀 후에 모든 불평등조약이 무효임을 발표.
→ 영국군 요청으로 인도-미얀마전선에 참여.
→ 미국 전략첩보기구인 OSS와 합작하여 한미 공동작전 준비.
→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한국광복군의 국내진입작전은 실현되지 못함.
→ 일제 한봉 직후 국내로 정진대(挺進隊) 파견
0 댓글